안녕하세요 한국품질재단입니다.
ISCC 인증은 지속가능성 및 저탄소 제품에 대한 국제인증으로서 한국품질재단에서는 ISCC EU 및 ISCC PLUS에 대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ISCC 인증 관련 정보와 소식들을 ISCC 뉴스레터를 통해 정기적으로 전달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지난 7월 3일, ISCC는 "System Updates Summary Q1/Q2 2024" 웨비나를 개최하였습니다.
금번 뉴스레터에서는 웨비나에서 공유된 2024년 상반기 System Updates의 주요 내용을 전달드립니다.
📝 System Updates 웨비나를 다시 보고 싶다면 Click (가입 필요) |
|
|
1. 시스템 문서 개정 및 물질 목록 업데이트
|
|
|
- ISCC EU 시스템 문서 개정
EU 이행법률(2022/996)이 개정(2023.12.30)됨에 따라, ISCC EU 시스템 문서가 v4.1로 개정(2024.01.01)되었으며, 지속가능 선언서(SDs) 등 관련 문서도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 ISCC PLUS 시스템 문서 개정
자발적 인증 시스템인 ISCC PLUS는 EU 이행법률의 요구사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ISCC EU 203(Traceability and Chain of Custody)의 기존 버전(v4.0)과 통합되어, ISCC PLUS의 요구사항만을 반영한 v.3.4.2로 개정되었습니다 (2024.03.06).
- 인증물질 목록(Material lists) 업데이트
ISCC EU (2024.02), PLUS (2024.03), CORSIA (2024.05)의 물질 목록이 각각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특히, 3월 1일 시스템 업데이트에서는 당밀(molasses)을 사탕수수나 사탕무를 설탕으로 가공할 때 나오는 연산품(co-product)으로 간주하여, 폐기물 혹은 잔류물로 인정하지 않음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2. 인증 범위별 ISCC 재인증(recertification) 조건 추가
|
|
|
- 이전 인증기간 인증물질을 취급하지 않은 경우, 재인증 불가(PoO, CP, Central Office)
ISCC EU 201(v4.1)에서는 이전 인증기간에 인증물질을 취급하지 않은 경우, 재인증이 불가하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5월 23일 시스템 업데이트에서는 인증 범위(scope)별 요구사항을 수정하여 발표하였는데요.
- 폐기물이 발생하는 지점(Point of Origin(개별 인증), Central Office)과 수집하는 곳(Collecting Point)의 경우, 이전 인증기간에 인증물질을 취급(입고 혹은 출고)하지 않았다면, 재인증이 불가합니다. 따라서, 인증 유지를 위해서는 꼭 인증물질을 취급해야 합니다.
- 이전 인증기간 인증물질을 취급하지 않아도 인증 가능(이외 모든 Scope)
Farm/Plantation, FGP, PU, FPR, Trader, Warehouse, Logistic Centre, ETBE&MTBE plants는 이전 인증기간에 인증물질을 취급하지 않았어도 재인증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 인증서 부록(Annex)에는 "No materials were handled as sustainable since the previous certification"이라고 표기됩니다.
- 탄소발자국 인증(CFC) 모듈 개발
제품 탄소발자국 인증을 위한 탄소 발자국 인증(Carbon Footprint Certification, CFC) 모듈이 개발되었습니다(3월 22일 업데이트). CFC는 개별 인증 혹은 ISCC PLUS 인증의 모듈로 적용될 수 있으며, 파일럿 단계이기 때문에 ISCC와 협의를 통해서만 적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CCS 활용 제품과 CCU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한 메탄올을 인증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 팜 오일 공장(Palm Oil Mill)의 폐기물/잔류물 가이던스 문서 업데이트
팜 오일 공장의 폐기물/잔류물 가이던스 문서가 업데이트 되어, 액체 폐기물 및 잔류물의 PoO 역할을 하는 팜 오일 공장은 반드시 개별 인증을 취득해야 합니다(5월 23일 업데이트).
-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esca의 상한값(cap) 적용
ISCC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때, 농업 관리 개선을 통해 증가한 토양의 탄소 축적량을 온실가스 감축량으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esca). 개별적으로 인증받은 농장(farm/plantation), Central Office, First Gathering Point는 바이오매스의 지속가능 선언서(SDs)에 해당 감축량을 기입할 수 있는데요. EU 이행법률(2022/996)에 따라 esca의 상한값이 적용됩니다. 이 상한값은 바이오연료가 생산된 시점과 관계없이, 2023년 12월 29일 이전에 지속가능 선언서(SDs)가 발행된 바이오매스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지속가능 선언서(SDs) 발행일을 확인할 수 없다면, 최종 연료 생산자는 상한값을 적용해야 합니다(5월 23일 업데이트).
4. 2024년 6월 27일 시스템 업데이트 공유📍
- ISCC HUB-UDB 연계를 위한 사이트(site) 정보 확인 요청 (ISCC EU 인증 기업)
ISCC는 유럽연합 데이터베이스(Union Database, UDB)와 ISCC HUB를 연계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6월 27일 업데이트). 인증서에 포함된 사이트 정보(외부저장소 등) 또한 2023년부터 ISCC HUB에 업로드 중인데요. ISCC HUB-UDB 연계 작업이 완료되면, ISCC HUB에 등록된 사이트 정보가 UDB에 자동으로 업로드됩니다. 원활한 연계를 위하여, ISCC는 ISCC EU 인증 기업에게 현재 ISCC HUB에 등록된 사이트 정보 확인을 요청했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경우, ISCC HUB의 인증서에서 "initiate site information update" 버튼을 눌러 수정할 수 있습니다. 수정 사항은 인증기관 확인 후에, ISCC HUB 인증서에 업데이트 됩니다.
|
|
|
❗재인증을 위한 갱신심사 전에 인증 물질 취급 필요 (PoO, CP, Central Office)
Point of Origin(개별), Central Office, Collecting Point의 경우, 직전 인증기간 동안 인증 물질이 하나도 취급되지 않았다면 재인증 불가
❗최신 시스템 문서 및 양식 사용
개정된 시스템 문서(ISCC EU v4.1과 ISCC PLUS v3.4.2)의 요구사항을 확인해야 하며, 함께 업데이트된 최신 양식 사용
❗ISCC EU 인증 기업의 경우, HUB에 등록된 인증서 정보 확인 필요
ISCC HUB 인증서의 정보 확인 후, 수정이 필요하다면 "initiate site information update" 버튼을 클릭하여 수정
|
|
|
- 심사부터 인증 결정까지 원스톱으로 진행가능한 대한민국 인증기관
- 다양한 국내외 평가규격을 바탕으로 최대규모의 인증 Scheme과 심사인력 Pool 확보
- 시스템 인증, 온실가스, ESG 부문 전문성을 바탕으로 높은 품질의 인증서비스 제공
|
|
|
수신거부를 선택하시면, 한국품질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서비스를 수신하실 수 없습니다. 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를 클릭하십시오.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