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메일은 2건의 ISCC 공식 뉴스레터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17 July 2025 ISCC EU, ISCC CORSIA, Auditor Rotation, ISCC Requirement of Uploading the List of Sites Covered by a Certificate and Sourcing Contacts for All ISCC Certification Schemes
- 3 July 2025 Launch of Standalone ISCC PLUS System Documents
모든 ISCC 인증기업은 ISCC System Update 내용을 숙지하시고 필요한 내용을 내부 시스템에 반영하셔야 합니다. 원문과 해석의 차이가 있을 경우, 원문을 참조해주시고 문의하실 내용이 있으면 iscc@kfq.or.kr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
|
- ISCC PLUS, ISCC EU와 완전 분리, 독립 인증시스템 출범
- ISCC EU | 폐기물·잔사 발생지 샘플 계산 규칙 명확화
- ISCC EU | 공동처리(co-processing) 설비 인증 추가 요건
- ISCC EU | ISCC EU 102의 인증기관·인증기업 부적합 요건 명확화
- ISCC CORSIA | 지속가능성 테마(Theme) 준수 검증 절차
- ISCC CORSIA | 비항공 부문에 대한 바이오나프타 및 중간/최종 연료
- ISCC CORSIA | 의무 사후 심사
- 공통 | 심사원 교체 원칙
- 공통 | 심사 제출 문서
- ISCC Certification Body Feedback Meeting in Köln
|
|
|
ISCC PLUS, ISCC EU와 완전 분리, 독립 인증시스템 출범
📅 원문 확인
🤔 배경 ISCC PLUS는 그간 ISCC EU 시스템을 기반으로 운영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ISCC PLUS 전 세계에 성공적으로 확산되고 이해관계자들의 자율적 인증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독립적인 운영 체계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ISCC PLUS 인증의 최근 발자취) 특히 유럽 플라스틱세, 재활용 의무화 제도,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등 새로운 규제 환경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독립적 인증 시스템이 필요해졌습니다.
✨ 주요 변경사항 ISCC PLUS 인증 시스템 문서가 신규 제정되었습니다. 전체적인 시스템 문서의 구조는 ISCC EU와 동일한 체계를 따르고 있습니다.
시스템 요구사항의 핵심 내용은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다만 ISCC EU 시스템을 참조하는 부분이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추적성과 관리연속성 요건이 보다 명확하게 개선되었습니다. ISCC PLUS는 2025년 7월 1일부터 새로운 독립 문서로 운영되나, 기존 인증서의 유효성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또한 ISCC EU 인증 물질 또한 ISCC Compliant를 충족하는 한 동일하게 인정됩니다.
📝 준비사항 및 대응방안 기존 인증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신규 제정된 시스템 문서는 18개월의 전환기간을 두고 2027년 1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현재 공개의견수렴을 진행하고 있으며 누구나 웹사이트를 통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
|
ISCC EU | 폐기물·잔사 발생지 샘플 계산 규칙 명확화
📅 원문 확인
개별 인증을 받지 않은 폐기물·잔사 발생지(Point of Origin)에 대한 샘플 심사 방법이 명확해졌습니다.
주요 내용:
- 샘플 크기는 월평균 5톤 이상 또는 연간 60톤 이상의 특정 폐기물·잔사를 발생시키는 발생지를 기준으로 계산
- 심사 전 12개월 내 자기선언서에 서명한 발생지가 대상
- 중요: 지속가능한 물질로 공급된 양이 아닌 실제 발생량 기준으로 계산
- 초기 심사에도 동일 적용
|
|
|
ISCC EU | 공동처리(co-processing) 설비 인증 추가 요건
📅 원문 확인
공동처리란? 기존 석유정제시설에서 바이오 원료와 화석 원료를 함께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새로운 규정이 적용되었습니다:
- EU 위임규정 2023/1640에 따라 최종 제품(경유, 항공유 등)에서 바이오 함량 측정을 위해 방사성탄소(C14) 측정방법을 활용해야 합니다.
- 이를 담은 ISCC 203-1 공동처리 인증 가이던스(v2.0)가 2025년 4월 3일부터 적용되고 있습니다.
기존 인증 기업을 위한 배려책이 있습니다: 새로운 기준을 즉시 적용하기 어려운 기업들을 위해 ISCC에서 한시적 배려책을 준비했습니다:
- 신규 방법 적용 계획을 제출하시면 → 심사원이 승인할 경우
- 인증서에 "위임규정 준수 보류 중" 표시를 하는 조건으로
- 기존 인증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 꼭 알아두셔야 할 제한사항:
- 이런 예외는 딱 1번만 허용됩니다.
- 이후 모든 갱신 심사와 초기 심사는 ISCC 203-1 가이던스를 반드시 완전히 준수해야 합니다.
실무에서 어떻게 진행하면 될까요?
- 계획서 준비: 새로운 측정 방법을 어떻게 도입할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을 심사원에게 제출하세요.
- 승인 기다리기: 필요한 측정 데이터와 문서를 준비한 후 심사원의 승인을 받으세요.
- 정식 운영 시작: 승인이 완료되면 지속가능성 증명서(PoS)가 발급되고 판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
|
|
ISCC EU | ISCC EU 102의 인증기관·인증기업 부적합 요건 명확화
📅 원문 확인
ISCC EU 102 Governance는 인증기업과 인증기관, ISCC협회의 역할과 책임을 규정한 시스템 문서입니다. 최근 개정판에 따르면 인증기업은 물론 인증기관 또한 부적합 대상이 될 수 있으며 ISCC협회로부터 그에 따른 조치를 받게 됩니다.
이번 시스템 업데이트에서는 ISCC EU 102의 부적합 요건 중 ISCC HUB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부적합 상황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인증기업은 특히 꼼꼼히 읽어주세요!
1️⃣ 인증기관(CB) 중 부적합(major non-conformity) 사례 확대
인증기관이 "ISCC HUB에 부정확하거나 거짓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중부적합을 받습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상황이 포함됩니다.
- ISCC 요구사항 위반하여 ISCC HUB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
- ISCC HUB 매뉴얼을 제대로 따르지 않는 경우
- 지정된 기한 내에 ISCC HUB의 Open task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2️⃣ 인증기관(CB) 경 부적합(minor non-conformity) 사례 확대
ISCC에 제출하는 인증 문서가 "지연되거나 불완전한 경우"라는 조건은 "지연되거나 불완전하거나 부정확한 경우"로 확대 적용됩니다. 즉, 단순히 늦게 내거나 빠뜨리는 것뿐만 아니라 틀린 정보를 제출해도 부적합으로 처리됩니다.
3️⃣ 인증기업 중 부적합(major non-conformity) 조건 신설 (가장 중요합니다!)
이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인증기업이 중 부적합을 받을 수 있습니다:
a) ISCC HUB 등록정보 미업데이트
- 연락처, 주소 등 기본 정보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
- 👉 실무: 회사 정보 변경 시 즉시 ISCC HUB에서 업데이트
b) ISCC HUB 작업 미대응
- 할당된 작업을 정해진 기한 내에 완료하지 않는 경우
- 👉 실무: ISCC HUB에 정기적으로 로그인하여 할당된 작업 처리
c) 인증기관과의 소통 미대응
- 인증기관의 ISCC관련 요청 사항에 응답 하지 않는 경우
- 👉 실무: 인증기관 연락에 신속하게 응답
4️⃣ Integrity Programme 관련 특별 규정
핵심: Integrity Programme(무결성 프로그램) 관련 소통은 더 엄격합니다.
- 일반적인 ISCC 소통과는 다른 기준을 적용합니다.
- 만일 답신하지 않는다면 치명 부적합(critical non-conformity)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 인증서 정지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 실무: Integrity Programme 관련 연락이 오면 절대 무시하면 안 됩니다.
5️⃣ 인증기관 추가 제재 조치
새로운 규정: 인증기관이 심사에서 실수하면 (리스크 수준, 보증수준 등을 잘못 판단)
- 부적합 처리 + 추가 제재가 가능하며,
- 특별 조건부 의무 사후 심사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
|
|
ISCC CORSIA | 지속가능성 테마(Theme) 준수 검증 절차
📅 원문 확인
2024년 1월 1일 이후 생산되는 모든 CORSIA 적격 SAF(지속가능항공연료)는 14개 테마(Theme)로 이뤄진 지속가능성 기준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이번 시스템 업데이트에서는 이 중 인권·토지이용·용수권과 지역사회발전·식량안보 관련 테마에 대한 준수 증명 절차를 설명했습니다.
1️⃣인권·토지이용·용수권 관련 테마 (10, 11, 12번)
어떻게 확인하면 될까요? ICAO CORSIA 테마 10, 11, 12번(인권과 노동권, 토지이용권과 토지 사용, 용수 이용권) 준수는 다음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통해 증명할 수 있습니다:
- 옵션 1: ISCC 원칙 3, 4, 5번에 대한 심사를 받습니다.
- 옵션 2: 관련 국가기관(해당 부처 등)에서 국가증명서를 발급받습니다. 증명서 형식이나 필수 내용에 대한 정해진 양식은 없으며 국가에서 정의합니다. ICAO CORSIA FAQ의 Q20번을 확인하세요. 옵션 2를 선택 시 인증기관(CB)이 인증 문서를 ISCC에 제출 할 때 국가증명서를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2️⃣지역사회 발전·식량안보 관련 테마 (13, 14번)
무엇을 제출해야 하나요? ICAO CORSIA 테마 13, 14번(지역사회 및 사회 발전, 식량 안보) 준수를 위해서는 조치목록(List of Actions)을 인증기관에 제출해야 합니다. 인증기관은 조치목록을 인증 문서의 일부로 ISCC에 제출해야 합니다.
어떤 내용이어야 할까요?
- 지속가능성 인증제도(ISCC와 같은)는 기업이 제출한 조치 내용을 검토하거나 판단할 권한이 없음에 따라 최소 요건이나 정해진 형식은 없습니다.
- 제공된 조치 목록은 테마를 준수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표시만 있으면 유효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 참고자료: ICAO CORSIA FAQ의 Q21번을 확인하세요.
|
|
|
ISCC CORSIA | 비항공 부문에 대한 바이오나프타 및 중간/최종 연료
📅 원문 확인
ICAO CORSIA 인증 시스템에서는 항공용으로만 사용되는 원료, 중간재, 최종 연료만 인증 대상입니다. 항공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바이오나프타는 인증대상이 될 수 없다고 지난 번 시스템 업데이트에서 설명드렸었는데요,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용도별 인증 가능, 불가능 여부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 인증 불가능한 경우:
- 용매용, 석유화학 원료용, 휘발유 생산용(비항공용) 바이오나프타
✅ 인증 가능한 경우:
- SAF(지속가능항공연료) 생산을 위한 중간재로 사용되는 바이오나프타 (ICAO CORSIA 하에서 CEF로 분류되는 경우)
📝 업데이트 사항: ISCC CORSIA 인증 물질 목록에서 바이오나프타 항목에 "Only as intermediate"(중간재로만 사용) 이라는 표기가 추가되었습니다.
|
|
|
ISCC CORSIA | 의무 사후 심사
📅 원문 확인
ISCC CORSIA 시스템에서 최초 인증을 받은 모든 시스템 사용자는 의무 사후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 명확화는 2025년 7월 17일부터 적용됩니다.
⚠️ 중요한 점:
- 다른 ISCC 인증 시스템(ISCC EU, ISCC PLUS 등)에서 이전에 인증을 받았어도 CORSIA인증을 위한 사후심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
|
|
공통 | 심사원 교체 원칙
📅 원문 확인
심사의 공평성을 높이기 위해 동일한 심사원이 3년 이상 연속적으로 동일 인증 기업에 배정될 수 없다는 조건이 신설되었습니다. 심사팀에는 심사원 외에도 기술전문가, 참관자 등 여러 역할을 가진 인원이 있죠. 이번 시스템 업데이트에서는 심사원 교체원칙이 적용되는 대상이 '심사에 참여하는 인원'에 한정됨을 명확히 설명했습니다.
심사원 교체 원칙은 누구에게 적용되나요?
- ✅ 적격 심사원: 선임심사원의 감독 없이 심사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심사팀 구성원
- ✅ 온실가스 전문가: 심사에 참여하므로 교체 원칙이 적용됩니다
- ❌ 기술검토자: 심사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 ❌ 수습 심사원: 감독 없이 심사를 수행할 자격을 갖추기 전까지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
|
공통 | 심사 제출 문서
📅 원문 확인
무엇이 바뀌었나요? 이제 모든 ISCC 인증 기업들이 추가로 제출해야 할 서류가 생겼습니다. 크게 두 가지입니다.
1️⃣인증서에 포함되는 사이트 목록 - 이제 꼼꼼히 관리해야 해요
어떤 자료를 준비해야 하나요?
- 표 1: 이 인증서에 포함되는지 사이트의 목록
- 표 2: 각 사이트별로 어떤 특징이 있는지 상세 정보
핵심은 실시간 업데이트입니다 심사 받는 시점에만 제출하면 끝이 아닙니다. 인증서가 만료될 때까지 ISCC HUB에서 계속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인증 대상 사업장은 물론이고 원료 발생지, 외부 창고까지 모든 곳을 포함해서 입니다!
⚠️ 특히 ISCC EU 인증 기업은 주의하세요! 유럽연합 데이터베이스(UDB)랑 연동되기 때문에 여기서 정보가 누락되면 나중에 거래 데이터를 등록하실 때 오류가 발생합니다.
실제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예를 들어 새로운 창고를 추가하거나 기존 사이트 운영 방식을 바꾸고 싶다면:
- 먼저 인증기관에 말씀하세요 - 승인받지 않고는 시작할 수 없어요.
- 승인되면 그때부터 운영 시작 - 인증기관이 해당 변경 사항을 승인한 후에만 새 사이트 또는 이미 나열된 사이트에 대해 변경된 조건에서 운영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2️⃣ 공급자 연락 목록 - 관리가 쉬워졌어요
언제 제출하면 되나요?
- 인증서 받을 때: ISCC HUB에 완전한 공급자 연락정보를 업로드해주세요.
- 심사 받을 때마다: 사후심사든 변경 심사든, 그때그때 업데이트하시면 됩니다.
좋은 소식이 있어요! 예전처럼 공급업체가 바뀔 때마다 ISCC HUB에 바로바로 업데이트할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내부적으로는 계속 관리하셔야 하지만, HUB 업데이트는 심사 받을 때만 하시면 돼요.
실무에서 이렇게 하세요:
- 공급자와 거래를 종료한 경우: "제거일자" 칸에 날짜만 적어주세요.
- 새 공급자 추가: 필요한 정보를 적고 "추가일자"만 넣으시면 됩니다.
- 공급자는 심사와 인증서 발급 사이 기간이든, 인증서 받은 후든 언제 추가해도 괜찮아요
💡 놓치기 쉬운 포인트: 심사보고서에 적힌 공급업체 수와 ISCC HUB에 등록된 수는 반드시 같아야 합니다.
⚠️ 앞으로 또 바뀔 수 있어요 특히 ISCC EU의 경우 UDB 요건 때문에 또 규정이 바뀔 수 있습니다. 변경되는 경우 ISCC 공식 레터를 통해 안내될 예정이니 ISCC EU 인증기업은 늘 ISCC로부터 오는 메일을 예의주시해주세요~!
|
|
|
지난 5월 20일부터 21일까지 독일 쾰른에 위치한 ISCC 본사에서 'ISCC 인증기관 피드백 미팅'이 열렸습니다. 전 세계 ISCC 인증기관의 본사 담당자들만 초청되는 특별한 자리였는데, 한국에서는 저희 한국품질재단이 유일하게 참석했습니다!
이번 피드백 미팅에서는 ISCC 인증 시스템의 성과를 되짚고, 향후 발전 방향을 두고 활발한 논의가 오갔습니다. 미팅의 주요 내용들은 이미 한국품질재단 공식 블로그를 소개해드린 바 있습니다. 아래 버튼을 통해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
|
|
그런데 블로그에서는 미처 다루지 못했지만, 국내 인증 기업 여러분들에게 실질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변경사항들이 있어서 이를 따로 정리해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인증 수수료 구조 변경
ISCC는 운영 비용과 인증 시스템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모든 회사 규모 및 시장에서 공정한 가격 책정을 보장해달라는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에 따라 새로운 수수료 구조를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변경된 수수료 구조는 2025년 3분기에 발표되고 공개의견수렴을 거쳐 2026년 1분기에 도입될 예정입니다.
ISCC PLUS 연료 사용 제외 접근법
유럽 일회용 플라스틱 지침(SUPD)은 일회용 플라스틱 내 재활용원료의 함량을 규정하는 제도입니다. SUPD에서 재활용 함량을 계산하고 검증하는 기준 중 가장 유력한 것이 바로 연료 사용 제외 접근법(Fuel-Use Excluded Attribution Approach)입니다. 이는 제품 중 연료 함량을 제외하고 나머지 양을 귀속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향후 도입될 더욱 강력한 규제에도 적용될 예정입니다:
- 유럽 포장재 및 포장재 폐기물 규정(PPWR)
- 유럽 폐자동차 처리 규정(ELV)
- 영국 플라스틱 포장세
전 세계 많은 국가들이 SUPD에서의 연료 사용 제외 접근법 이행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어, 그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타임라인
- 2025년 3분기 말: ISCC PLUS SUPD 준수 Add-on 발표
- 2025년 4분기 중순: ISCC PLUS Expert Training (SUPD Add-on 심사원 필수)
- 2026년 1분기: 연료 사용 제외 접근법 및 ISCC PLUS SUPD 준수 Add-on 인증 런칭
ISCC PLUS | 물질 목록 표시 체계 개선
ISCC 인증을 받으려면 물질 목록에 물질명이 등재되어 있어야 하죠. ISCC PLUS 인증은 특히 다양한 화학물질을 다루고 있는 인증임에도 불구하고 물질 목록이 모든 가능한 공정과 물질을 포함하지 못하고 있으며 동일한 물질에 대해 서로 다른 명칭이 존재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2단계 접근법(Two-tier approach)이 도입될 예정입니다. 아직 구체적인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이번 미팅에서 2단계 접근법의 개념을 아래와 같이 설명했습니다.
1단계 (Public Tier) 광범위한 물질 범주로 인증서와 요약 심사보고서에 표시되어 누구나 열람 가능합니다.
분류 예시: 유기 및 무기 중간체, 정유 및 업그레이드 제품, 벌크/상품 화학물질, 미세화학물질, 특수화학물질, 플라스틱 화합물 및 복합재료, 고분자, 처리된 폐기물, 구성요소(중간재), 최종제품, 플라스틱제품, 포장재, 식품 및 사료 중간재/제품
2단계 (Confidential Tier)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물질 정보로 거래 기업과 인증기관 간에만 공유됩니다. 인증서 부속서 포함 여부는 기업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2단계 명명법은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번호를 최우선으로 하며, CAS 번호 공개가 불가능한 경우 IUPAC(국제 순수·응용화학 연합) 명명법이 대안이 됩니다.
ISCC PLUS | Mass balance 가이던스
ISCC PLUS에서 Mass balance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명확화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ISCC가 별도 가이던스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가이던스는 2025년 3분기 말 발표 예정입니다.
ISCC PLUS EN 15343 Add-on
유럽 플라스틱세 대응을 위한 EN 15343 Add-on이 곧 도입됩니다. 다만 규제 지역에서 검증기관 인정을 의무화한 경우에는 Add-on만으로 플라스틱세에 대응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스페인에서는 ISCC PLUS Add-on으로 EN 15343 준수를 입증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ISCC PLUS는 독일 인정기관(DAkkS)을 통해 EN 15343에 대한 인정 및 동등성 적합성을 결정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ISCC PLUS | 사회적 기준
현재 ISCC PLUS 인증을 위한 사회적 기준이 개발 중입니다. 여기에는 안전한 작업 조건, 고용 조건, 사회 개발, 사회 준수 등 네 가지 주요 원칙을 포함하며, 국제 노동 기구(ILO)의 원칙을 통합하고 있습니다. 개발된 사회적 기준을 적용한 파일럿 심사와 공개 의견 수렴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
|
|
- 심사부터 인증 결정까지 전 과정을 한국어로 진행하며 신속하고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보장합니다.
- 풍부한 ISCC 심사원 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대한민국 제1호 ISO 9001 인증기관, 대한민국 제1호 온실가스 명세서 검증기관으로 시스템 인증, 온실가스 및 ESG 분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
|
한국품질재단 공식 SNS를 통해 다양한 소식을 확인하세요! |
|
|
|